본문 바로가기
  • 隨喜功德다른사람의장점을항상보고칭찬하라
  • 隨喜功德다른사람의장점을항상보고칭찬하라
  • 隨喜功德다른사람의장점을항상보고칭찬하라
許京寧神人讲演

토요강연

by 明智 2025. 6. 27.
허경영강연1360회

처의불회 (處義不回) 상세 해설 (한자·영어 병기)
**처의이불회(處義不回)**는 **한자성어(四字成語, Four-character idiom)**로, 그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.
* 한글 (Hangeul): 처의이불회
* 한자 (Hanja): 處義不回
* 영어 (English): To stand for righteousness without wavering. / To adhere to what is right and not turn back.
의미 (意味, Meaning)
**"의(義, righteousness)로운 상황(狀況, situation)에 처(處, to be in)하여 (그릇된 길로) 돌아가지(回, turn back) 않는다"**는 뜻입니다. 이는 어떠한 **위협(威脅, threat)**이나 유혹(誘惑, temptation) 앞에서도 자신이 옳다고 믿는 정의(正義, justice)로운 길을 굳건히 지키는 **불굴(不屈, indomitable)의 정신(精神, spirit)**을 나타냅니다.
이 성어(成語, idiom)는 **개인(個人, individual)**의 높은 **도덕적 기준(道德的 基準, moral standards)**과 **신념(信念, conviction)**을 강조하며, **불의(不義, injustice)**와 **타협(妥協, compromise)**하지 않는 곧은 **성품(性品, character)**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.
각 한자의 의미 (各 漢字의 意味, The Meaning of Each Hanja Character)
* 處 (처): 곳, 처하다 (to be in a situation; place)
* 義 (의): 옳을 의 (righteousness; justice)
* 不 (불): 아닐 불 (not)
* 回 (회): 돌아올 회 (to turn back; to return)
요약 (要約, Summary)
따라서 **처의불회(處義不回)**는 **의로움(righteousness)**을 지키는 일에 있어서는 결코 물러서거나(to retreat) 마음을 바꾸지(to change one's mind) 않겠다는 **강(强)한 의지(意志, strong will)**를 담고 있는 말입니다.

  
견리사의(見利思義)와 견위수명(見危授命) 상세 해설 (한자·영어 병기)

두 표현은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많으며, 특히 안중근(安重根, An Jung-geun) 의사가 **뤼순 감옥(旅順監獄, Lushun Prison)**에서 **유묵(遺墨, posthumous work of calligraphy)**으로 남겨 더욱 유명해졌습니다.
두 구절의 출전(出典, source text)은 **논어(論語, The Analects of Confucius)**의 **헌문편(憲問篇, Chapter Xian Wen)**으로, **공자(孔子, Confucius)**가 제자 **자로(子路, Zilu)**에게 ‘성인(成人, a complete person or a perfect man)’에 대해 설명하는 대목에서 나옵니다.
1. 견리사의 (見利思義)
* 한글 (Hangeul): 견리사의
* 한자 (Hanja): 見利思義
* 영어 (English): Seeing gain, think of righteousness.
의미(意味, Meaning): 눈앞의 **이익(利益, profit or gain)**을 보았을 때, 그것을 취하는 것이 과연 **의(義, righteousness)**로운 일인지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뜻입니다. **사사로운 욕심(私慾, selfish desire)**보다는 **공적인 의리(公的義理, public justice and loyalty)**와 **도리(道理, moral principle)**를 우선시하는 **군자(君子, a gentleman or a man of virtue)**의 자세를 강조하는 말입니다. 이는 **불의(不義, injustice)**한 이익에 흔들리지 않는 높은 **도덕적 기준(道德的基準, moral standards)**을 의미합니다.
* 見 (견): 볼 견 (to see)
* 利 (리): 이로울 리 (gain, advantage, profit)
* 思 (사): 생각할 사 (to think, to consider)
* 義 (의): 옳을 의 (righteousness, justice)
2. 견위수명 (見危授命)
* 한글 (Hangeul): 견위수명
* 한자 (Hanja): 見危授命
* 영어 (English): Seeing danger, offer your life.
의미(意味, Meaning): 나라가 **위태(危殆, dangerous or perilous)**롭거나 정의가 위협받는 상황을 마주했을 때, 자신의 **목숨(生命, life)**을 바쳐서라도 바로잡아야 한다는 뜻입니다. 개인의 **안위(安危, safety and well-being)**보다 **국가(國家, nation)**와 **공동체(共同體, community)**의 안녕을 위해 **헌신(獻身, to devote oneself)**하고 **희생(犧牲, to sacrifice)**하는 **위국헌신(爲國獻身, devotion to one's country)**의 정신을 나타냅니다.
* 見 (견): 볼 견 (to see)
* 危 (위): 위태할 위 (danger, peril)
* 授 (수): 줄 수 (to give, to offer, to hand over)
* 命 (명): 목숨 명 (life, destiny)
관계 및 요약 (關係 및 要約, Relationship and Summary)
**견리사의(見利思義)**가 개인적 차원에서 마주하는 사리(私利, private interest) 앞에서 지켜야 할 의로움이라면, **견위수명(見危授命)**은 국가적 차원에서 마주하는 공위(公危, public danger) 앞에서 보여야 할 희생정신입니다.
공자(孔子, Confucius)는 이 두 가지와 더불어 **"구요불망평생지언(久要不忘平生之言)"**을 함께 거론하며 이 세 가지를 실천할 수 있다면 **'성인(成人, a complete person)'**이라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.
* 한글 (Hangeul): 구요불망평생지언
* 한자 (Hanja): 久要不忘平生之言
* 영어 (English): Not forgetting the promises of one's whole life, even in long-standing poverty or difficulty.
   * 久要 (구요): 오래된 약속 또는 오랜 곤궁함 (old promise or long-standing hardship)
   * 不忘 (불망): 잊지 않음 (not forgetting)
   * 平生之言 (평생지언): 평생의 약속 (the words or promises of a lifetime)
결론적으로, 이 두 성어는 **유교적 가치관(儒敎的價値觀, Confucian values)**에서 이상적인 인간이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, **개인의 욕망을 절제하는 도덕성(道德性, morality to control personal desires)**과 **공동체를 위한 숭고한 책임감(崇高한 責任感, noble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community)**을 함께 강조하는, 서로 **보완적인 관계(補完的關係, a complementary relationship)**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복위혁명성공후 불거공(復爲革命成功後 不居功) 상세 해설 (한자·영어 병기)

문장의 원문은 안중근(安重根, An Jung-geun) 의사가 남긴 유묵(遺墨, posthumous work of calligraphy) 중 하나입니다.
* 한글 (Hangeul): 복위혁명성공후 불거공
* 한자 (Hanja): 復爲革命成功後 不居功
* 영어 (English): After again succeeding in the revolution, I will not dwell in my own merit.
해설 (解説, Explanation)
이 문장(文章, sentence)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습니다.
1. 복위혁명성공후 (復爲革命成功後)
"다시 **혁명(革命, revolution)**을 **성공(成功, succeed)**시킨 후에" 라는 뜻입니다.
* 復 (복): 다시 복 (again, to repeat)
* 爲 (위): 할 위 (to do, to act as, to become)
* 革命 (혁명): 가죽 혁, 목숨 명 (revolution)
* 成功 (성공): 이룰 성, 공 공 (success)
* 後 (후): 뒤 후 (after, behind)
의미 분석(意味分析, Analysis of Meaning): 여기서 '다시'라는 의미의 '복(復)'자는 안중근(安重根, An Jung-geun) 의사가 **이토 히로부미(伊藤博文, Itō Hirobumi)**를 저격한 **의거(義擧, righteous act)**를 제1차 혁명으로 보고, 앞으로 **조국(祖國, fatherland)**이 완전히 **독립(獨立, independence)**을 이루는 것을 제2차 혁명으로 여겼음을 시사합니다.
2. 불거공 (不居功)
"그 **공(功, merit)**에 머무르지 않겠다" 또는 "공을 차지하지 않겠다"는 뜻입니다.
* 不 (불): 아닐 불 (not, no)
* 居 (거): 머무를 거, 차지할 거 (to dwell, to reside, to claim for oneself)
* 功 (공): 공 공 (merit, achievement, contribution)
의미 분석(意味分析, Analysis of Meaning): 이는 혁명이 성공하더라도 그 공을 내세워 **벼슬(government post)**이나 **명예(名譽, honor/fame)**를 탐하지 않고, 오직 나라의 **독립(獨立, independence)**과 **평화(平和, peace)**를 위해 **헌신(獻身, to devote oneself)**하겠다는 순수한 **애국심(愛國心, patriotism)**과 **겸손(謙遜, humility)**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.
요약 (要約, Summary)
결론적으로 **"복위혁명성공후 불거공(復爲革命成功後 不居功)"**은 "훗날 **조국(祖國, the fatherland)**이 완전히 독립하는 혁명에 성공하더라도, 나는 그 공을 내세워 어떠한 **사사로운 이익(私私로운 利益, private gain)**도 취하지 않겠다"는 안중근 의사의 숭고한 **자기희생(自己犧牲, self-sacrifice)**과 **대의명분(大義名分, just cause)**을 보여주는 말입니다.
이는 앞서 다룬 **'견리사의(見利思義, Seeing gain, think of righteousness)'**와 **'견위수명(見危授命, Seeing danger, offer your life)'**의 정신과도 **일맥상통(一脈相通, to be connected by a single thread)**하며, 개인의 **영달(榮達, personal glory and success)**보다는 **국가(國家, nation)**와 **민족(民族, people)**의 **의로움(righteousness)**을 최우선으로 삼았던 그의 **철학(哲學, philosophy)**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**유묵(遺墨, posthumous calligraphy)**이라 할 수 있습니다.

허경영 신인
早速 釋防 懇求


'許京寧神人讲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토요강연  (6) 2025.06.30
토요강연  (4) 2025.06.28
토요강연  (2) 2025.06.26
일요강연  (7) 2025.06.25
토요강연  (7) 2025.06.25